스냅샷 공유파일 방식 방법

ELK|2023. 1. 4. 22:55
728x90

오늘의 포스팅은 별다른건 없고 스냅샷 명령어 기록용 즉 불친절한 포스팅이다.

shared file 방식 스냅샷 이다. 뭐 사실 다른 타입이라고 해서 크게 다르진 않다. 

 

일단 사전에 NFS나 NAS 마운트 등이 필요 하지만 이런건 패스 하고 스냅샷 하는 명령어 기준으로 작성.

 

Elasticsearch.yml 에서 mount한 영역으로 repo 설정 한다.

아래와 같이 복수 영역 지정이 가능 하다. 단 모든 노드가 동일영역을 정확하게 바라보고 있어야 된다.

마운트가 정상적으로 안되있을시 repo설정시 에러 발생

 

아래와 같이 사전에 설정이 필요 하다.

Path:
  repo:
    - /hanu
    - /mount/hanu

path.repo:
            -/hanu
            -/mount/hanu

참고 해야 될점은 최초 언급한거 처럼 하나의 타겟을 바라보게 노드를 셋팅 해야 한다.

PUT _snapshot/hanurepo
{
  "type": "fs",        #스냅샷 타입 지정의미 fs(shared file), s3, hdfs 등등 존재
  "settings": {
    "location": "/hanu"
  }
}

일단 위와 같이 repo 저장소 지정 커맨드가 필요 하다.

 

PUT /_snapshot/hanurepo”리포네임”/hanuking”스냅샷이름”?wait_for_completion=false
{
  "indices": "index_1,index_2", # 백업할 인덱스 *아스테리크 형태로 인덱스 지정 가능
  "ignore_unavailable": true,     #그대로 진행
  "include_global_state": false, #그대로 진행
  "metadata": {
    "taken_by": “hanu", #아무말 사용
    "taken_because": “hanu sa ju sae yo“#아무말 사용
  }
}

리포 생성이 정상적으로 되면 해당 명령어를 통해 스냅샷을 생성 한다. 인덱스용량이 미미 하다면 기다려도 되나 굳이 그럴필요 없으니 wait_for_completion=false 으로  셋팅 한다.

 

GET /_snapshot/hanurepo/hanuking 결과확인 명령
DELETE /_snapshot/hanurepo/hanuking  스냅샷삭제

 

생성 후 확인은 위와 같이 하면된다.

 

공홈에 있는 내용 이지만 첨부해본다. 버전별 스냅샷 호환표

 

마지막은 언제나 레퍼넌스 doc 링크로 마무리 

약간은 불친절한 포스팅이지만 실제 설명도 다있고 하니 이만

https://www.elastic.co/guide/en/elasticsearch/reference/7.5/snapshots-register-repository.html

'ELK'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astic scrollAPI와 search After API 차이  (0) 2023.04.07
검색시 최적화된 샤드 갯수  (0) 2023.01.08
대량의 데이터 Reindex 시 Task 죽는 현상  (0) 2022.12.25
index alias #2  (0) 2022.12.18
index alias #1  (0) 2022.12.14

댓글()